본문 바로가기

디지털노마드9

디지털 노마드 세금, 한국 주소지 그대로 두면 어떻게 될까? 디지털 노마드, ‘주소 하나’로 세금 의무가 달라질 수 있다?디지털 노마드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국경을 넘나들며 일하고,여러 나라를 전전하는 생활 방식을 선택한다.이들은 대부분 한국 국적을 유지한 채 해외에 체류하거나,장기 거주를 하면서도 한국의 주소지를 그대로 유지하곤 한다.하지만 이 주소 하나가 세금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훨씬 크다.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나는 한국에 살고 있지 않다”,“183일 이상 외국에 체류했기 때문에 세금은 없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실제로 국세청은 주소의 존재 여부를 핵심적인 ‘거주자 판정 기준’으로 삼는다.즉, 한국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유지하고 있다면,당사자가 해외에 있더라도 거주자로 간주되어전 세계에서 벌어들인 수익에 대해 한국 세법상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2025. 7. 13.
해외 체류 디지털 노마드 세금, 183일 기준의 진실 디지털 노마드 세금 “183일 넘으면 세금 안 낸다?” 그 오해가 만든 리스크많은 디지털 노마드들이 “해외에 183일 이상 체류하면 한국에 세금 안 내도 된다”고 믿는다.이 기준은 마치 ‘세금 면제의 마법 숫자’처럼 알려졌지만, 실상은 전혀 다르다.국제조세와 거주자 판정에 있어 183일은 단지 하나의 판단 기준일 뿐이며,실질적인 거주지 판단은 훨씬 복잡하고 정교하게 이루어진다. 디지털 노마드처럼 국경을 넘나들며 일하는 사람들에게“나는 외국에 오래 있었으니 한국 국세청에는 신고 안 해도 괜찮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한국은 거주자의 전 세계 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거주지 중심 과세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해외 체류 일수만으로는 그 의무를 회피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노마드들이 흔히 믿고 있는“183.. 2025. 7. 13.
디지털 노마드 세금, 달러 수입 기준은 어떻게 계산할까? 달러로 돈을 벌어도, 세금은 원화로 계산된다디지털 노마드로 일하는 수많은 한국인들은 달러, 유로, 파운드 등다양한 외화로 수익을 창출한다. 특히 미국 클라이언트나 플랫폼(예: Upwork, Fiverr, 아마존, 유튜브) 등을 통해달러로 정산되는 수입 구조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문제는 이 달러 수입을 세금 신고할 때 어떻게 환산하고, 어떤 기준으로 정산해야 하느냐다.한국 국세청은 모든 세금 신고서를 '원화 기준'으로 제출하게 되어 있다.즉, 아무리 외화로 수익을 벌었다 하더라도,국내 세법에 맞게 '원화로 환산된 총수입 금액'을 기준으로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하지만 많은 디지털 노마드들이 환율 적용 시점을 잘못 알고 있거나,정산 기준 없이 추정치로 신고함으로써 가산세 등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 2025. 7. 10.